모바일메뉴열기
경희온가족한의원

아토피·알러지클리닉

아토피·알러지클리닉 두드러기

두드러기

두드러기의 증상

두드러기는 피부의 국소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팽진(膨疹)과 홍반(紅斑)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입니다.
갑자기 생겼다가 1~2 시간 후 사라지거나 24시간 이상 지속하기도 합니다. 지속되는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되며 급성두드러기는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되고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두드러기'라고 하며 주로 한방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피부로 드러나는 두드러기의 증상

양증(陽症)의 두드러기와 음증(陰症)의 두드러기로 크게 분류하는데 이를 양진(陽疹), 음진(陰疹)이라 명명합니다.

양진은 두드러기의
대표적인 증상 _
피부표면이 빨갛게 부풀어 오르는 팽진과 홍반
그리고 가려움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열이 심해졌을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증상들
  • 열이 지나치면 피부가 붉어지면서 홍반이 나타나고
  • 뜨거우면 팽창하므로 피부의 국소적인 팽창으로 인하여 팽진이 나타나고
  • 열이 있으면 피부의 수분이 부족하여 가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몸에 열이 많은 체질에 다발

결국 양진 두드러기의 증상은 피부로 열이 넘쳐서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공기가 뜨겁거나 운동을 하여 몸에서 열이 발생이 되면 증상이 심해지고 시원한 곳이나 열이 식으면 증상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 임상에서 양진은 간과 심장의 열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많습니다.
음진(陰疹)은
양진에 비해서 _
붉은색이 훨씬 적고 피부의 발열감도 많지 않고
오히려 팽진의 테두리가 흰색을 띠기도 하며 홍반과 팽진의 증상에 비해서는 가려움이 비교적 심할 수 있습니다.

몸에 찬 체질에 다발

음진(陰疹)은 폐의 양기(陽氣)가 부족하여 몸이 찬 체질에서 다발하는데 날씨가 추워지거나 찬 곳에 가면 더욱 증상이 심해지고 따듯한 곳에 가면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임상에서는 폐의 양기(陽氣가 부족한 것과 비위(脾胃)가 찬 것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많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