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열기
경희온가족한의원

위·대장클리닉

위·대장클리닉 역류성식도염

역류성식도염

원인과 증상

역류성 식도염은 위와 식도에서 위산(胃酸)이 역류하여 발생하며 호소하는 증상은
명치에서 목구멍으로 치밀어 오르며 가슴이 쓰리거나 타는 것 같고 소화가 안 되고 속이 답답하면서 미식 거립니다.
또한, 목에 이물감을 호소하거나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침이 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에 따라
양증(陽症)과 음증(陰症)으로 구분

양증(陽症)은 주로 간담(肝膽)의 울열(鬱熱)이 원인이 되는 열증의 염증성 반응이기 때문에 주로 신물과 타는 듯한 열감을 호소하는 전형적인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치료법은 간담(肝膽)의 화(火)를 제거하고 위(胃)를 보하는 방향으로 처방합니다.

음증(陰症)은 비위(脾胃)나 폐(肺)의 양허(陽虛)로 인해 발생하는 소화불량이 오래 경과되어 발생되는 담음(痰飮)으로 인해 목에 이물감을 느끼거나 기침을 하는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음증의 역류성 식도염은 아래와 같은 담음증상을 동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평소 소화가 안 되고 속이 미식거리거나 차멀미를 잘 하고
  • 가슴이 두근거리고 일어날 때 어지러움 발생

치료법은 비위(脾胃)나 폐(肺)의 양기(陽氣)를 보해주고 담음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처방합니다.

경희온가족한의원의 치료

  • 사암침, 체질침
  • 왕뜸 복부
  • 한약 사상 오장육부 진단에 따른 체질 한약
top